(과정평가형)실내건축산업기사(A)

교육과정 개요

모집마감 : 2020년 04월 07일
교육기간 : 2020.04.07~2020.09.21 (107일/총 672시간)
수업시간 : 월 화 수 목 금 ( 09:00~16:40 )
모집인원 : 24명
담당교수 : 정훈희 , 정훈희
훈련비/훈련수당 : 전액정부지원/매월 최대 116,000원 지급 (교통비, 식대포함,출석률에 따라 차등지급)
참고사항 : ● 해당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따라 운영되는 훈련과정으로 훈련 중 직업기초능력단위(총3개) 및 실내건축 능력단위(총 10개)에 대한 75%이상의 출석률과 내부평가(50점 만점) + 외부평가(50점 만점)에서 80점 이상 득점시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이 부여되는 과정입니다.
지원자격 : ● 만 15세 이상, 현재 직장이 없고 취업을 희망하시는 분
● 훈련 부적격자
- 고용보험가입자 (고용보험 상실 후 훈련 가능)
- 개인사업자 (수입금액 또는 사업소득 금액에 따라 참여 가능)
- 주간대학교 재학 또는 휴학자
(야간대학, 방송통신 고/대학, 사이버대학 재학/휴학자는 훈련 가능)
- 직업훈련 3회 이상 수료자 (3회 이전 고용보험가입 180일 이상이면 가능)
- 현재 직업훈련 재학중인 자
교육특전 : ● 자격취득을 위한 학력, 경력사항 제한 없음
● 훈련비/교재비/재료비 100% 전액 국비지원

● 월 최대 116,000원 훈련수당 지원 (출석률에 따른 차등지급/실업급여 수급자 미지급)
● 교육과정 참여 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응시
● 기숙사 지원 (남자기숙사)
● 수료 후 취업지원 및 취업알선
구비서류 : ● 사진 1매(온라인 제출가능, 미 제출자는 입학 후 제출 가능)
● 졸업예정증명서 : 졸업예정자인 경우(해당자에 한함)
● 제적확인서 : 초, 중, 고, 대학교 제적/자퇴인 경우(해당자에 한함)
● 폐업증명서 : 사업자를 가지고 있다가 폐업한 경우(해당자에 한함)

훈련내용 +

인간과 실내 환경이라는 관계성 위에서 얻어지는 요소를 재창조, 재구성하여 인간이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실내 공간을 보다 기능적, 미적, 경제적으로 디자인하는 직무수행을 할 수 있는 인력양성를 목표로 각종 유형의 실내디자인을 계획하고 실무도면을 작성하기 위한 개념도, 평면도, 천장도, 입면도, 투시도 등의 작성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직업기초능력
- 색채와 디자인
- 실내디자인 계획Ⅰ[ 마감계획/가구계획 ]
- 실내디자인 계획Ⅱ [설비계획/조명계획 ]
- 실내디자인 프로젝트 [실내디자인 기본계획/프레젠테이션]
- 공간조형디자인[실내건축설계 시각화 작업]

교과구분 훈련시간 교과목명
NCS 소양교과 15시간 의사소통능력 개인적 의사소통과 조직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문서적인 측면에서 의사소통 능력
언어적 특면에서 의사소통 능력
15시간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사전학습평가 0시간 사전학습평가 .
소양평가 0시간 소양평가 .
공간조형디자인 108시간 실내건축설계 시각화작업 2D도면작성하기
3D도면작성하기
색채와 디자인 78시간 실내디자인 색채계획 실내디자인 색채 선정하기
실내디자인 색채 적용검토하기
실내디자인 색채계획하기
실내디자인 프로젝트 66시간 실내디자인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 기획하기
프레젠테이션 작성하기
프레젠테이션하기
72시간 실내디자인 기획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하기
설계 개념 설정하기
공간 프로그램 적용하기
실내디자인계획Ⅰ 90시간 실내디자인 마감계획 실내디자인 마감재 조사, 분석하기
실내디자인 마감재 적용검토하기
실내디자인 마감계획하기
90시간 실내디자인 가구계획 실내디자인 가구 조사, 분석하기
실내디자인 마감재 적용검토하기
실내디자인 마감계획하기
실내디자인계획Ⅱ 60시간 실내디자인 설비계획 실내디자인 설비 조사, 분석하기
실내디자인 설비 적용검토하기
전기설비 및 조명분야와 구체화 협의하기
78시간 실내디자인 조명계획 실내디자인 조명 조사, 분석하기
실내디자인 조명 적용검토하기
전기설비 및 조명분야와 구체화 협의하기

취득가능 자격증 + 본 교육을 듣고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자격증구분 자격증명 시행기관 관련링크
국가공인 실내건축산업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바로가기 →